기준봉은 주식에서 매우 중요한 매매 기준이됩니다.
기준봉이 출현하기전에는 일반적으로 낮은 거래량과 시장의 관심도가 낮지만 기준봉 등장 이후로는 시장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거래량이 증가합니다.
기준봉은 여러가지 기준이 있지만 안정적인 매매를 위해서 거래대금과 주가 등락률이 일정수준 이상이 되어야합니다.
기준봉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장대양봉이어야하며 등락률의 종가는 15프로 이상이어야합니다.
2. 최근 거래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며 거래량 비율이 눈에띄는 종목이어야합니다.
3. 이동평균선이 되도록 정배열이어야합니다.
4. 이동평균선이 역배열일 경우에는 최근 횡보가 3개월 이상이어야합니다.
5. 전고점보다 고점을 높이는 종목이어야합니다.
6. 마지막으로 제일 중요한 거래대금이 1000억원 이상이어야합니다.
거래대금 1000억이 발생되면 일반적으로 큰 호재 또는 이슈가 발생된것으로 주도주급 종목에서만 큰 거래대금이 발생됩니다. 확실한 기준봉은 큰 거래대금과 적당한 등락률이 발생되는 것이 중요하며 매매의 확률을 올리는 기회가 됩니다.
거래대금 1000억 기준봉 5일선 눌림목 수식을 만들어보겠습니다.
차트에 오른쪽 클릭하여 목록중 수식관리창을 실행시킵니다.
1. 수식관리 메뉴에서 신호검색을 선택합니다.
2. 새로만들기를 클릭합니다.
3. 검색식명에 수식명을 기입합니다.
4. 기준봉=거래대금>=100000 and C>C(1)*1.15;
M5 = ma(C,5);
cnt=CountSince(기준봉,CrossDown
(Max(C,O),M5));
cnt==1 && cnt(1)==0
를 수식창에 입력합니다.
100000 and C>C(1)*1.15; 거래대금 1000억원에 등락률 15프로 종가 캔들만 표시하는 수식입니다.
M5 = ma(C,5); 이동평균선 5일선을 기준으로합니다.
cnt=CountSince(기준봉,CrossDown
(Max(C,O),M5));
cnt==1 && cnt(1)==0
카운트를 설정하는 부분으로 기준봉이후 5일선을 이탈한 1번째 캔들을 표시합니다.
5. 색상 및 화살표는 각자 취향에 맞게 설정합니다.
6. 수식검증을 누른후 작업저장을 누릅니다.
7. 저장한 목록을 확인합니다.
8. 8번을 누르면 매뉴 및 지표 목록이 나옵니다.
9. 저장한 "기준봉눌림목" 을 클릭하면 오른쪽 차트에 적용됩니다.
10. 기준봉 이후 5일선 하단에서 발생된 1번째 캔들에서 화살표가 발생됩니다.
기준봉 1000억이 발생된 등락 15프로 이상인 캔들에서 발생된 종목에서의 눌림목구간을 표시하는 수식을 만들어보았습니다.
주식은 백프로가 없지만 확률높은 구간은 있습니다.
예를들어 기준봉이후 윗꼬리가 많은 고가놀이형태의 눌림목 신호는 피한다던지
기준봉이후 깔끔하게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떨어지는 종목을 매매한다던지
기준과 원칙을 지키며 매매한다면 조금더 안정적이고 확률 높은 매매가 될것입니다.
기준봉눌림목 신호 수식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단테님의 역매공파 112 검색식 직접 만들어 보았습니다. (2) | 2025.03.15 |
---|---|
직장인은 안전하게 HTS 영웅문 (0331) 예약주문 하세요. (0) | 2025.03.12 |
주도주를 찿아주는 간단하지만 강력한 대박<조건검색식>공개합니다. (0) | 2025.03.10 |
HTS 일봉 차트 거래대금 1000억 화살표 신호(수식) 설정 (0) | 2025.03.08 |
[대왕개미 홍인기]님이 사용하시는 거래대금 1000억 강세패턴 수식 (2) | 2025.03.07 |